반응형

4장. 리스크 관리

리스크 구분

  • 비재무적 위험
  • 재무적 위험
    • 시장위험 : 주식, 채권, 통화, 상품, 신용
    • 신용위험 : 거래상대방
    • 운영위험 : 내부 시스템
    • 유동성위험 : 거래량
    • 법적위험 : 계약

 

리스크 관리 실패 사례

  • 베어링은행 파산사건 : 파생상품 실패(내부관리통제, 감독 부재)
  • 메탈게젤샤프트사 파산사건 : 선도시장에 대한 이해 부족(선도 거래 롤링 위험)
  • 오렌지카운티 파산사건 : 이자율 예측 실패(VaR 와 같은 지표 부재)

 

VaR

  • 부분가치평가법 : 가치평가모형 필요 X - 모수적 가정 필요 O (분산, 공분산 필요)
    • 델타노말 분석법 : 델타 리스크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리스크 고려 X
      • VaR = V(노출금액) * 신뢰상수 * 표준편차 * 기간^(1/2) * 수정듀레이션(채권)
  • 완전가치평가법 : 가치평가모형 필요 O - 모수적 가정 필요 X, 비선형 수익구조 상품(옵션 등)도 사용 가능
    • 역사적 시뮬레이션 : 과거 위험요인 변동을 향후에 나타날 변동으로 가정
    •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: 역사적 시뮬레이션 보완, 가장 정교, 가장 큰 비용
    • 스트레스 검증법 : 시나리오에 따라 다른 결과, 주로(항상 X) 최악의 상황 가정, 포트폴리오가 하나의 리스크 요소에 의존하는 경우 사용, 보완 용도

 

VaR 유용성

  • 위험조정수익률 RAROC = 순수익 / VaR
  • 한계 VaR (Marginal VaR) : 새로운 투자대안 편입 시 VaR의 순증가분

 

VaR 한계

  • 과거 데이터 의존 -> 스트레스 검증법으로 보완
  • 필요한 자료 이용 제한 : 역사적 시뮬레이션 사용 불가
  • 모형에 따른 측정치 차이
  • 보유기간에 따른 측정치 차이

 

신용위험 측정모형 - EDF 모형

  • 재무정보 이용 X (투명성, 적시성), 현재 주가 활용
  • 부도거리 DD = (미래가치 - 부채금액) / 표준편차
  • 이론적 EDF != 실증적 EDF
  • 부도거리가 멀수록 안전
  • 표준정규분포 가정

 

신용손실분포

  • 신용리스크 : 예상 외 손실 (예상 손실은 비용으로 인식 -> 대손충당금으로 대비)
    • 비대칭성, 두껍고 긴 꼬리 : 정규분포 X -> 모수적 방법 측정 X

 

부도 모형

  • 예상손실(EL)의 불확실성(변동성)
  • EL = EAD(위험노출금액) * PD(부도확률) * LGD(부도시 손실률)
  • 부도확률은 베르누이 분포
  • 예상손실의 변동성은 부도율의 표준편차로 추정
  • 신용등급과 무관 (신용등급은 MTM 모드)
반응형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