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 ) 선물
1. 선물 개념
구분 | 선물 | 선도 |
---|---|---|
거래장소 | 거래소 | 장외 |
신용위험 | 청산기관 보증 | 계약불이행 위험 존재(신용 위험) |
증거금 일일정산 | 증거금 납부, 일일정산 | 은행간 증거금 X, 대고객 필요 시 요구, 일일정산 없이 만기에 정산 |
인수도 | 실물인수도 비율 낮음(대부분 차액현금) | 대부분 실물인수도(NDF 예외) |
만기일 | 미리 정해짐(통상 3, 6, 9, 12월) | 당사자 간 협의 |
2. 선물 종류
기초자산에 따른 분류
- 상품선물 : 농산물, 축산물, 에너지, 임산물, 비철금속, 귀금속 등 (국내는 금, 돈육)
- 이자비용, 보관비용, 편의수익 고려 (배당금 등 현금수입 X)
- 일반적으로 양의 보유비용 -> 선물이론가격 > 현물이론가격
- 금융선물 : 주가지수, 개별 주식, 금리/채권, 통화 등
- 이자비용과 현금수입만 고려 (실물 X -> 보관비용 X, 편의수익 X)
- 주가지수선물 : 양의 보유비용 -> 선물이론가격 > 현물가격
- 채권선물 : 음의 보유비용 -> 선물이론가격 < 현물가격
- (통화선물은 예외 : 이자율평가이론 적용)
3. 선물의 가격결정
현물거래 시 가격변동위험(시장위험) 및 보유에 따른 비용과 수익 발생 -> 선물거래로 가격고정효과
보유비용모형
- 선물가격 Future = 현물가격 Spot + 순보유비용(Cost of Carry)
- 순보유비용(CC) = 이자비용(r) + 보관비용(c) - 현금수입(d) - 편의수익(y)
- 이자비용 : 자본조달에 따른 이자비용
- 보관비용 : 일정기간 현물을 보관하는 비용
- 현금수입 : 주식 배당금, 채권 표면이자, 외화 예금이자 등
- 편의수익 : 현물을 보유할 때 얻는 편익, 현물보유자에게 주어지는 비금전적 혜택
4. 선물가격과 현물가격의 관계
- 콘탱고
- 선물가격 > 현물가격
- 원월물 가격 > 근월물 가격
- 백워데이션
- 선물가격 < 현물가격
- 원월물 가격 < 근월물 가격
5. 선물가격과 미래현물가격의 관계 가설
- 콘탱고 가설
- 선물가격 > 미래현물가격 ->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선물가격 하락
- 헤저가 매수포지션, 투기자가 매도포지션
- 정상 백워데이션 가설
- 선물가격 < 미래현물가격 -> 만기일에 가까워질수록 선물가격 상승
- 헤저가 매도포지션, 투기자가 매수포지션
6. 베이시스
- 베이시스 = 선물가격 - 현물가격
- 이론 베이시스 = 선물 이론가격 - 현물가격
- 시장 베이시스 = 선물 시장가격 - 현물가격
2 ) 투기거래
1. 투기거래
- 시세차익 목적, 시장리스크 감수
- 유동성 제공
- 레버리지 = 1 / 위탁증거금율
2. 투기거래자
- 스캘퍼 : 초단기 매매차익 실현
- 데이 트레이더 : 일중가격 차이를 이용해 매매차익 실현
- 포지션 트레이더 : 하루 이상 포지션 유지
3 ) 헤지거래
1. 헤지거래
- 선물시장에서 현물포지션과 반대포지션을 취함으로써 리스크 제거
- 지수선물 헤지효율성 결정요인
- 주식 포트폴리오와 주가지수 간의 추적오차
- 주가지수와 주식선물가격 간의 베이시스 리스크
- 무위험자산 = 주식 포트폴리오 - 주가지수선물
2. 헤지거래 종류
- 선물포지션에 따른 분류
- 매도헤지 : 현물가격 하락 대비
- 매수헤지 : 현물가격 상승 대비
- 기초자산에 따른 분류
- 직접헤지 : 현물과 동일한 기초자산 선물로 헤지
- 교차헤지 : 현물과 다른 특성을 가진 선물로 헤지
3. 헤지거래 고려사항
- 과도헤지와 과소헤지 : 계약단위로 인한 과도헤지 또는 과소헤지
- 결제월 선택 : 현물거래시점과 가장 가까운 결제월을 선택하되 현물거래시점보다 후행
- 헤지비율
4. 헤지거래 이월
- 장기간 헤지가 필요한 상황에서 원월물 유동성이 부족한 경우 이월
- 매도헤지는 정상시장, 매수헤지는 역조시장에서 이월해야 이익
- 매도헤지 : 근월물 매도포지션 정리(매수), 원월물 매도포지션 재매도(근월물 < 원월물)
- 매수헤지 : 근월물 매수포지션 정리(매도), 원월물 매수포지션 재매수(근월물 > 원월물)
5. 베이시스 리스크
- 베이시스 리스크 : 선물로 헤지 시 시장(이론 X) 베이시스 변화에 따른 헤지 성과 변동 위험
- 선물 만기일 전에 헤지포지션 청산 시 베이시스 리스크에 노출(베이시스 변화는 불규칙적)
- 베이시스 리스크 노출 시 완전 헤지 불가능, 손익 변화(무조건 악화 X)
- 매도헤지(선물 매도)
- 베이시스 감소(선물 하락, 현물 상승) 시 이익
- 베이시스 증가(선물 상승, 현물 하락) 시 손실
- 매수헤지(선물 매수)
- 베이시스 감소(선물 하락, 현물 상승) 시 손실
- 베이시스 증가(선물 상승, 현물 하락) 시 이익
- 매도헤지(선물 매도)
4 ) 차익거래
1. 차익거래
- 선물의 시장가격과 이론가격 사이의 괴리 이용
- 고평가 매도, 저평가 매수
- 무위험 수익
- 종류
- 매수차익거래
- 선물 시장가격 > 이론가격
- 선물 고평가, 현물 저평가
- 선물 매도 + 현물 매수
- 매도차익거래
- 선물 시장가격 < 이론가격
- 선물 저평가, 현물 저평가
- 선물 매수 + 현물 매도
- 매수차익거래
2. 차익거래 불가영역
- 선물의 이론가격 = 완전경쟁시장 가정, 보유비용만 고려해서 도출
- 실제 선물 시장에서는 거래비용 발생 -> 차액거래 시 거래비용 고려
- 차익거래 불가영역
- 하한선
- 저평가 -> 매도차익거래, 가장 높은 수준
- 하한선 = 이론선물가격 - 거래비용
- 상한선
- 고평가 -> 매수차익거래, 가장 낮은 수준
- 상한선 = 이론선물가격 + 거래비용
- 하한선
5 ) 스프레드거래
1. 스프레드거래
- 두 선물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거래 : 절대가격 X, 상대가격 O
- 한 종목에서 생기는 이익이 다른 종목에서 생기는 손실 상쇄 -> 리스크, 수익 낮음
2. 스프레드거래 종류
- 시간 스프레드
- 거래대상이 동일한 선물 중 만기가 다른 선물 이요
- 스프레드 = 원월물 - 근월물
- 거래방법
- 스프레드 매수 전략 : 스프레드 확대 예상 -> 근월물 매도, 원월물 매수
- 스프레드 매도 전략 : 스프레드 축소 예상 -> 근월물 매수, 원월물 매도
- 상품(시장) 간 스프레드
- 기초자산이 상이한 선물 이용
- 결제월 간 스프레드에 비해 큰 변동폭
반응형
'자격증(금융) >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과목. 파생상품 I - 6. 통화 선물 & 상품 선물 (2) | 2025.05.10 |
---|---|
1과목. 파생상품 I - 5. 금리 선물 (0) | 2025.05.07 |
1과목. 파생상품 I - 4. 주식 선물 (3) | 2025.05.03 |
1과목. 파생상품 I - 2. 기초자산 개요 (0) | 2025.04.28 |
1과목. 파생상품 I - 1. 파생상품 개요 (0) | 2025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