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 ) 주가지수선물
1. 주가지수선물 특징
- 거래대상 : 주가지수
- 주가지수는 실물 X -> 기초자산 인수도 불가 -> 현금 결제
- 체계적 리스크 관리에 최적
구분 | KOSPI200 선물 | KOSDAQ150 선물 |
---|---|---|
기초자산 | KOSPI200 지수 | KOSDAQ150 지수 |
거래승수 | 25만 원 | 1만 원 |
호가단위 | 0.05p | 0.10p |
틱벨류 | 12,500 원(25만 원 * 0.05p) | 1,000원(1만 원 * 0.10p) |
결제월 | 분기월(3, 6, 9, 12월) | 분기월(3, 6, 9, 12월) |
최종거래일 | 결제 월 두 번째 목요일(휴일이면 전영업일) | 결제 월 두 번째 목요일(휴일이면 전영업일) |
최종결제방법 | 현금결제 | 현금결제 |
2. 주가지수 차익거래
- 현물바스켓 거래(주가지수 현물 X)
- 완전복제법 : 추적오차 X, 거래비용 증가
- 부분복제법
- 층화추출법(Sampling) : 업종별 대표종목 선별
- 최적화법(Optimaization) : 기준에 의해 종목 선정
- 복합법 : 두가지 방법 결합
- 현물바스켓 관리, 추적성과 관찰, 대규모 거래 등 어려움 발생
3. 주가지수 차익거래 리스크
- 추적오차
- 유동성 리스크(미청산 위험)
- 시장충격비용 : 대규모 주문으로 인한 가격 변동 위험
- (신용위험 X), (재고위험 X)
2 ) 주식선물
1. 주식선물 특징
구분 | 주식 | 주식선물 |
---|---|---|
의결권 및 배당권 | 있음 | 없음 |
만기 | 없음 | 있음 |
공매도 | 제약 많음(uptick rule) | 제약 없음(매도 포지션) |
2. 국내 주식선물
- 계약금액 : 주식선물가격 * 10(거래승수)
- 최종거래일 : 각 결제월(분기 마지막월) 두 번째 목요일
- 결제방법 : 현금결제
- 위탁증거금률 : 지수선물에 비해 약간 높음(변동성)
3. 주식선물의 가격결정
보유비용모형
- 선물가격 = 현물가격 + 순보유비용
- 순보유비용 = 이자비용 - 배당금
- F = S + S(r-d)*(t/365)
4. 주식선물 베이시스
- B = F - S = S(r-d)*(t/365) = 보유비용
- 이론 베이시스 = 선물 이론가격 - 현물가격
- 시장 베이시스 = 선물 시장가격 - 현물가격
5. 베타조정
- 베타 : 주식시장 대비 포트폴리오의 민감도, 시장리스크
- 완전 헤지 = 베타 0
- 베타조정
- 주가 상승 예상 -> 베타 상승 -> 선물 매수
- 주가 하락 예상 -> 베타 하락 -> 선물 매도
- N = (목표 베타 - 기존 베타) * 포트폴리오 현재가치 / (선물가격 * 거래승수)
6. 주식 차익거래
- 보유비용과 거래비용의 불확실성 고려
- 보유비용 불확실성
- 배당수익률 : 기업 영업 실적에 따라 변화
- 이자율 : 시장의 기준금리와 차입이자율 간 스프레드
- 거래비용 불확실성
- 매도차익거래 : 공매도 시 대차비용 및 환수요청 위험
- 보유비용 불확실성
7. 주식선물 차익거래 불가영역
- 거래비용 구분
- 명시적 구분 : 수수료, 세금
- 암묵적 비용 : 호가 스프레드, 시장 충격 비용, 제도적 마찰요인
- 차익거래 불가영역
- 하한선
- 저평가 -> 매도차익거래, 가장 높은 수준
- 하한선 = 이론선물가격 - 거래비용
- 거래비용 : 주식 공매도 수수료, 현물 매도 거래세 / 선물 매수 수수료, 증거금
- 상한선
- 고평가 -> 매수차익거래, 가장 낮은 수준
- 상한선 = 이론선물가격 + 거래비용
- 거래비용 : 주식 매수 자금, 현물 매수 수수료 / 선물 매도 수수료, 증거금
- 하한선
반응형
'자격증(금융) >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과목. 파생상품 I - 6. 통화 선물 & 상품 선물 (2) | 2025.05.10 |
---|---|
1과목. 파생상품 I - 5. 금리 선물 (0) | 2025.05.07 |
1과목. 파생상품 I - 3. 선물 개요 (0) | 2025.04.28 |
1과목. 파생상품 I - 2. 기초자산 개요 (0) | 2025.04.28 |
1과목. 파생상품 I - 1. 파생상품 개요 (0) | 2025.04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