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안투자상품 특징
- 전통적인 투자상품과 낮은 상관관계 -> 높은 분산투자효과
- 대부분 장외시장에서 거래 -> 환금성 부족, 환매금지기간, 긴 투자기간
- 차입, 공매도, 파생상품 활용 -> 위험관리 중요 (cf. 기존 투자전략 - 매수중심)
- 운용자 스킬 중요 -> 높은 보수율, 성공보수(2-20Rule : 운용보수 2%, 성공보수 20%)
대안투자상품 종류
- 전통투자 : 주식 또는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, MMF(단기금융펀드)
- 대안투자 : 부동산펀드, 인프라스트럭처펀드, 상품펀드, 헤지펀드, PEF(사모펀드)
PEF
무한책임사원(GP) | 유한책임사원(LP) | |
---|---|---|
역할 | PEF 운용자, 무한책임부담 | PEF 투자자, 유한책임부담 |
내역 공개 여부 | 공개 | 비공개 |
취급기관 | PEF 전문 운용사, 은행계 자회사 등 | 연기금, 은행, 보험사 등 |
PEF Exit 방안
- 매각 : 일반기업에 매각 / 다른 PEF에 매각
- 공모상장 : 직접매각의 후순위 전략, 복잡한 공모절차와 심사
- 유상감자 : 기업의 수명단축, 성장저해, 공격적인 회수전략
- 자체상장 : 공격적인 회수전략
부동산금융
- 주택금융 : 담보대출
- 수익형 부동산금융 : 투자대상 부동산의 미래현금흐름을 상환 재원으로 하여 자금 조달
- 부동산 증권형
- ABS : 조기 현금흐름 창출 -> 유동성위험 회피
- MBS : 저당권을 기초자산
- REITs :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및 관련 사업에 투자한 후 배당 분배 / 증권시장에 상장 -> 유동성 확보 / 일반투자자들도 소액으로 부동산투자 가능
- 부동산펀드
- 부동산 개발형 : PF
- 부동산 증권형
헤지펀드 운용 전략
- 차익거래
- long / short equity : 주식시장 중립형(long : short = 5 : 5) (cf. 주식의 롱숏 - 방향성)
- 전환사채 차익거래 : 저평가 전환사채 매수, 전환사채의 델타만큼 기초자산 주식 매도
-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크고 볼록성이 큰 전환사채
- 유동성이 높은 전환사채와 기초주식을 쉽게 빌릴 수 있는 전환사채
- 낮은 전환프리미엄을 가진 전환사채
- 낮은 배당률을 갖는 기초자산의 전환사채
- 낮은 내재변동성
- 채권차익거래
- 단기채와 장기채 간의 기울기 : 단스장플(스티프닝 단기채매수, 플랫 장기채매수)
- Yield Curve Steepener 전략 : 단기채 매수 + 장기채 매도(내제 변동성 매도 포지션)
- Yield Curve Flattener 전략 : 단기채 매도 + 장기채 매수(내제 변동성 매수 포지션)
- 단기채, 중기채, 장기채 간의 수익률곡선 변화
- Yield Curve Butterfly 전략(hump형 - 중기채 매수 / trough형 - 중기채 매도)
- 단기채와 장기채 간의 기울기 : 단스장플(스티프닝 단기채매수, 플랫 장기채매수)
- 상황의존형
- 합병차익 : 인수주식 매도 + 피인수기업 주식 매수 (합병무산 리스크)
- 부실채권투자 : 재무적 어려움을 격는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 매입 + 이후 구조조정 등을 통해 차익
- 방향성
- 주식의 롱숏
- 글로벌 매크로 전략 : 세계경제에 대한 거시경제 분석 바탕(탑다운 분석), 가장 고위험 고수익, 환위험 헤지 X(환율변동도 수익원으로 인식)
- 이머징마켓 헤지펀드
- 섹터헤지펀드
- 매도전문펀드
- 선물거래
- 기타
- Carry Trade : 낮은 금리로 자본 조달 + 높은 금리에 투자(금리차 수익, 환율변동 위험)
- Break-even inflation trade : 물가연동채권(TIPS)과 국채를 이용한 차익거래
- 인플레이션 예상 : TIPS 매수 + 동일만기 국채 매도
- 디플레이션 예상 : TIPS 매도 + 동일만기 국채 매수
- 무상증자 이벤트 전략 : 무상증자 권리락일에 해당 종목의 주가 상승 기대
CDO(부채담보부증권) 분류
- 발행목적 기준
- Arbitrage CDO : 기초자산 수익률과 유동화증권 수익률 간 차익
- Balace Sheet CDO : 대차대조표에서 위험자산 감소 -> 재무비율 개선
- 위험전이방법
- Cash Flow CDO : 자산을 SPC에게 양도(위험전가), SPC는 CDO 증권 발행하여 자금조달
- Synthetic CDO : CDS를 활용하여 위험 전가(기초자산 양도 없이 신용 위험 전가)
- 기초자산 운용방법
- Static CDO : 포트폴리오 운용 없이 만기까지 보유
- Dynamic CDO : 지정된 운용자에 의해 자산 운용
CDO의 세가지 트랜치
- Equity : up-front 방식(일정 수익 선지급, 만기에 남아있는 담보자산 수령)
- Mezzanine : 잔여이익에 대한 권리 없음.
- Senior : mark to market 위험(신용 등급 하락 시 환가 하락 가능), 재보험사의 분산투자 도구
- Super Senior : 신용평가 X(회사채 등급 AAA보다 우량자산)
신용파생상품
구분 | CDS | TRS | CLN |
---|---|---|---|
위험전가자 | 보장매수자 | TRS매도자 | CLN발행자 |
위험인수자 | 보장매입자 | TRS매수자 | CLN투자자 |
전가위험 | 신용위험 | 신용위험 + 시장위험 | 신용위험 |
특징 | Basket Default Swap | 현금흐름 복제효과 | 일반채권에 CDS 결합 |
준거자산 양도 여부
- O : ABS, CDO
- X : CDS, CLN, TRS, 합성CDO