파생상품 개념
- 기초자산의 가격에 의해 가치 결정
- 시장 리스크(주가, 금리, 환율, 상품)와 신용 리스크 관리 수단
파생상품 분류
구분 | 장내파생상품 | 장외파생상품 |
---|---|---|
거래장소 | 거래소(청산기관)에 의한 채무이행 -> 상대방 신용상태 파악 필요 X | 장외 |
종류 | 선물, 장내옵션 | 선도, 장외옵션, 스왑 |
특징 | 표준화, 정형화 -> 유동성결제 안정화 제도 | 유연성, 맞춤형 |
결제안정화제도 |
파생상품 유형
구분 | 선도형 | 옵션형 | 합성형 |
---|---|---|---|
특징 | 손익구조가 선형 | 손익구조가 중간에 꺾이는 비선형 | 선물옵션 : 선물과 옵션의 결합 |
파생상품 종류 | 선도, 선물, 스왑 | 콜옵션/풋옵션, 캡/플로어 | 스왑션 : 스왑과 옵션 결합 |
파생상품의 경제적 기능
- 리스크 전가 :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이전 (소멸 X)
- 가격발견 : 미래 현물가격에 대한 예측치 (정확한 예측 X)
- 자원배분의 효율성 증대 : 리스크 관리, 투자수단, 다수 경쟁에 따른 독점력 감소
- 시장효율성 제고 : 저렴한 수수료, 레버리지
장내파생상품 구성요소
- 거래대상(기초자산)
- 제한 X
- 수요 고려
- 결제월
- 만기 : 실물인수도나 현금결제가 이루어지는 달
- 금융선물은 통산 분기 마지막 월(3, 6, 9, 12월)로 지정
- 가격표시방법
- 단기금리선물 : 100 - 금리
- T-Bond, KTB 선물 : 액면 100인 채권가격을 %로 표시
- 계약 단위
- 기본거래단위
- 국채선물 : 1억 원, 달러선물 : 1만 달러, KOSPI200선물 : 지수 * 25만 원
- 최소호가단위(tick)
- tick value = 1tick * 계약단위
- KOSPI200선물 : 0.05
- 일일가격제한폭
- 시장 과열 방지
- CME group(미국) : 가격제한폭 X
- KRX : KOSPI200선물, KOSDAQ150선물 가격제한폭 설정
장내파생상품 결제안정화제도
- 반대매매 : 최종 거래일 이전에 언제든지 포지션 청산 가능
- 일일정산 : 전일과 당일 선물 가격의 차이만큼 익일에 결제
- 증거금 제도 : 개약 이행 보증금
- 개시증거금 : 최초 계약 체결 시 납부하는 증거금
- 유지증거금 : 임계점, 마진콜 기준
- 추가증거금 : 일일정산 결과 계좌잔액이 유지증거금 이하로 떨어지면 익일까지 개시증거금(유지증거금 X)까지 납부
- 미이행 시 반대매매(청산)
장내파생상품 거래량과 미결제약정
- 거래량 : 매도 또는 매수한 한쪽의 수량 -> 거래 발생 시마다 누적
- 미결제약정
- 특정일 현재 청산되지 않고 남아있는 포지션 -> 일일정산의 대상이 되는 계약 수
- 시장 유출입 자금의 크기 파악에 이용
- 미결제약정 증가 : 기존 추세 지속
- 미결제약정 감소 : 기존 추세 반전
- 계산
- 신규 + 신규 : 증가 - 진입
- 반대 + 반대 : 감소 - 철수
- 신규 + 반대 : 불변
거래 | 내용 | 거래량 | 미결제약정 |
---|---|---|---|
1 | A 50계약 매수(신규 매수), B 50계약 매도(신규 매도) | 50 | 50 |
2 | C 30계약 매수(신규 매수), D 30계약 매도(신규 매도) | 80 | 80 |
3 | D 20계약 매수(반대 매수), A 20계약 매도(반대 매도) | 100 | 60 |
4 | E 30계약 매수(신규 매수), C 30계약 매도(반대 매도) | 130 | 60 |
장내파생상품 유형
- 헤지거래 : 위험 회피
- 투기거래 : 시세차익, 레버리지 효과
- 스프레드거래 : 두 자산 사이의 가격차이, 투기거래보다 위험과 이익이 적음
- 차익거래 : 비정상적인 가격차를 이윤으로 획득, 무위험거래